Loading
목적사업 불교인문학습원

불교인문학습원

서구의 계몽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불교인문학 증진에 기여하고 특히 인문학적 요소가 가득 한 불교의 사상과 문화등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여 신행과 교학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함.

불교인문학 강좌 : 한국사상의 원류인 고승열전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구현함.
대불련 기록사업 : 대불련 108인에 관한 신행과 사회활동의 기록을 편찬함.
불교미디어 사업 : 유튜브 개국 준비사업에 따른 미디어사업의 기반을 조성함.


불교인문학습원 원장 // 북한불교연구소 소장(現) // 고려대장경연구소 소장 역임
《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》(2024) 《고려대장경의 비밀》(2013) 《남북불교교류 60년사》(2010)

불교인문학 스페셜 강좌 :

한국고승열전- 고승과의 대화Ⅰ, 총7강

제1강 : 원효대사, 동양의 소크라테스
제2강 : 의상대사, 동양의 아리스토텔레스
제3강 : 대각국사 의천, 고려의 삼장법사
제4강 : 일연선사, 고려의 야사탐험가
제5강 : 사명대사, 조선의 최고협상가
제6강 : 만해선사, 대한독립의 선봉장
제7강 : 성철스님, 가야산의 호랑이

대불련 기록사업 : 대불련 동문의 신행과 사회활동에 관한 기록편찬 사업.

1/4분기 : 재가열전 프로젝트팀 구성, 대상자 선정과 섭외(대불련 동문 2~3인): 기록사업에 따른 구성작가 양성 및 발굴사업, 연구조사사업 병행
2/4분기 : 대상자 관련자료 검색과 수집, 인터뷰 일정(PD, 녹화 장비와 팀운영)
3/4분기 : 사전 인터뷰와 녹화채록, 사진촬영, 개별 시놉시스 구성과 재정리 등
4/4분기 : 대상자 원고정리 및 교정교감 작업, 출판/영상물 협의제작, 판권 등

불교미디어 개발사업 : SNS 문화환경 변화에 공감 공유를 위한 미디어사업 추진

1/4분기 : 방송명칭 확정, 유튜브 개국준비위원회 조직구성과 공모(공개) 등
2/4분기 : 소스개발-소재발굴회의(50개 대분류+30개 시나리오 작업), 연수교육 등
3/4분기 : 미니방송 구성과 제작(1~2편), 평가작업(시청자 반응평가)과 수정제작
4/4분기 : 〈미디어사업 개발사업보고서〉 작성 및 보고(평가회) 등 개최